✔️ 2024.08.31일에 항해 데브랩 컨퍼런스에 다녀왔습니다.
다양한 네트워킹 활동이 있었지만, 발표 세션만을 간단하게 정리하며 남겨보고자 합니다.
[목차]
- AI와 자동화로 주니어 개발자 키우기 - 이동욱님
- 책임 분리의 마법: 깔끔한 폴더 구조 만들기 - 테오님
- 클린 아키텍처: 무한 성장하는 시스템의 비밀 - 허재님
1. AI 와 자동화로 주니어 개발자 키우기
개발바닥의 연예인 - 인프랩 CTO 향로(이동욱)님의 발표였습니다.
스타트업으로 시작한 서비스 회사에서, 인재풀을 확보하고 개발팀이 잘 성장하기 위해 고민했던 과정과 결과에 대해 이야기해 주셨습니다.
이동욱 CTO님이 처음 인프랩에 들어가서 인원을 채용할 때 몆가지 기준을 세워 시니어를 뽑기로 결정했지만, 그 당시 인력풀이 너무 비쌌으며 마땅한 인재를 찾기가 어려우셨다고 합니다.
그런 상황에서 고민을 하시다, 꼭 필요한 조건만을 남기고 다시 생각해보니 시니어 개발자 채용이 아닌 같이 일하기 좋은 동료를 뽑는다로 방향을 바꿨습니다.
✔️ 인프랩에서 원했던 인재풀 → 시니어 | ✔️ 좋은 시니어 이전의, 같이 일하기 좋은 동료 |
|
+ (연차 대비 훌륭한 전문성) 은 당연한 거라고 함 |
→ 원하는 인재풀을 바꾸다보니, 경력이 중요해지지 않았고 저연차(주니어) 혹은 신입을 많이 뽑게 되었다고 합니다.
"하지만, 이렇게 뽑아도 2년안에 퇴사한다면??"
보통 어느 조직에 들어가든 1년을 훈련 시켜야 1인분을 하기 시작하는데, 이 적응시간을 줄이자
📌 인프랩에서 AI를 활용해 온보딩 및 적응시간을 줄였던 방법
1) 입사하면 팀의 미션 공유함 (인프랩 개발팀의 미션과 가치)
https://tech.inflab.com/20231117-devteam-value/
2) 잦은 주기의 피드백 환경 조성
흔히, 신규 입사자를 위한 온보딩을 위해 "서포터"를 두기 마련인데 인프랩은 사람도 적었고 "서포터가 존재하지 않을 때" 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고민했고 이를 AI 를 활용해서 해결했다고 합니다.
가. 코드 정적분석 (소나큐브)
- Sonar Cube 는 PR 시 해당 PR 코드에 대한 Sonar Rule 에 위반하는 악취 코드를 선별해줍니다.
- 또한 PR이 올라온 후, 수정되는 시간 즉 → PR 내부의 기술 부채를 해결하는데 얼마나 시간이 걸렸는지 등을 기록해주어 회고시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.
나. 코드 레빗 AI (CodeRabbit)
- 코드 레빗 또한 PR(풀 요청) 검토 프로세스를 간소화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설계된 AI 기반 코드 검토 도구입니다. (Saas)
- 소나 큐브는, rule 기반으로 코드 레빗은 AI 기반으로 동작하는 분석 도구이기때문에 코드 수정 방향성 제시, 테스트 코드 제안 등 실질적으로 서포터의 코드 리뷰역할을 담당하였다고 합니다.
- 또한 PR 코드에대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만들어주어, 실질적인 코드리뷰어(사람)가 더 빠르게 구조를 파악할 수 있어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.
다. DORA 메트릭스
- 개발 생산성에 대해 분석하고 해당 통계를 대시보드로 보여주는 모니터링 툴입니다.
- 개발자의 생산성을 숫자로 표기할 수는 없지만, 계획된 기획 기간을 지키지 못했을 때 병목 지점을 파악할 수 있는 회고의 지표로 사용했다고 합니다.
- PR 반영이 늦었는지
- 빌드 시간이 늦었는지
- 커밋이 늦었는지
- 인프랩 테크 블로그 : https://tech.inflab.com/20240221-dora-metric-with-devlake/
라. 언제든지 답변 받을 수 있는 환경
- MetaSearch : 회사 내부 문서들을 통합하여 검색할 수 있는 환경
- AI Slack Bot : 사내 wiki, Jira, 용어정리 스프레드(사내 비지니스 용어)를 참고하여 답변할수있는 Slack Bot
- AI 데일리 분석 노트 : 하루 매출, 인프런 상세페이지 pv 와 uv, 학습 수, 첫 구매자 수, 신규 강의 수 등등에 대한 통계
→ 이런 결과를 위해 “문서화 강조” : AI Bot이 문서화를 토대로 답변하기 때문에, 한번의 문서화가 팀원 전체의 생산성을 개선
- 문서화에 대한 중요성을 모두가 인지하고 있어 작성하는 것이 당연한 문화가 조성됨
- 구두 논의 내용또한 슬랙에 기록
- 문서 최신화 환경이 구성됨 (신규 입사자가 업무를 진행하면서 Bot 의 답변이 이상혀면 본인이 최신 문서를 수정함)
→ 선순환 구조
3) 직접 구축보단 오픈소스
사내 프로세스를 직접 만들기 보다는 프레임워크 버전 업데이트에 대응이 가능한 오픈소스를 100% 활용하여 사용한다고 합니다
2. 프론트엔드 개발자 관점으로 보는 관심사의 분리와 좋은 폴더 구조
테오의 스프린트로 알고있었던 "테오님"의 발표셨습니다.
Front-end 의 발전에 따라 과심사의 분리가 어떻게 이루어져 나갔고
좋은 폴더구조를 확립하기위한 "프론트의 진화 패러다임?" 에 대한 흐름을 알 수있었던 발표였습니다.
1) 관심사 분리의 시작
- 역할이 다른데 역할에 유리한 방식대로 분리하자 (HTML, CSS, JS)
2) 컴포넌트
- 수평이 아닌 수직으로 관심사를 분리하자
- 하나의 컴포넌트 안에, 디자인 개발 문서 등등을 다 넣음
- 역할이 아닌 기능 중심의 모듈화
+ 여기서 더하여 계층적 관심사가 필요 (컴포넌트로 관심사를 분리했지만, 컴포넌트가 너무 많아지면 관리가 힘들어짐)
→ 아토믹 디자인 패턴
3) 의존성 단방향 관리가 중요해짐
- 데이터와 view 간의 의존성 분리를 하여 더 계층적 분리를 하기 시작
- 서버 데이터 관리 (하나의 기능 혹은 패러다임으로 해결하려 하지 않고, 관심사를 더 세부적으로 나누어 계층을 분리)
→ 이렇게 만들어진 폴더 구조
4) 관심의 방향성
관점에 따라 관심사는 달라진다
- 계층적 구조로 분리를 하다보면 독립적인 기능 구조가 필요하고
- 독립적인 기능구조를 잘 분리하여 재사용가능한 구조로 만들기 위해서는 계층적구조가 필요하다
- 이렇게 나누어진 2가지 관점을 모듈(수직)과 레이어(수평)라고 부르기 시작했다고 합니다.
- + 클린 아키텍처(데이터의 흐름을 관심사로 하는 새로운 관심사 계층)
서로 프롭스? 되어야한다?
4) FSD 아키텍쳐
- 하지만 폴더 구조는 1개다!
- 현대는 멋지게 분류했지만 특정 관심사로는 갈기갈기 찢어져, 파편화가 됨
- 한번 더 관심사의 분리가 필요해졌고, 최근 떠오르는 아키텍처가 FSD 아키텍처라 합니다.
마지막으로
✔️ 폴더 구조는 프로젝트 구조와 함께 성장해야 합니다.
✔️ 흔히하는 실수 - 모양이 같으면 같은 컴포넌트로 한다.
- Ui 컴포넌트와 도메인 컴포넌트는 다르다
- 컴포넌트 분리를 관심사에 따라서 분리하자
3. 클린 아키텍처 : 무한 성장하는 시스템의 비밀
항해 플러스 멘토로 계신 무신사 백엔드 개발자 - 허재님의 발표입니다.
"코드를 어떻게 짜야하는가" 가 세션의 주된 주제였고
유연한 코드를 위한 아키텍처 설계에 대한 이론 설명이였습니다.
좋은 코드란 ?
- 구조화되어있고, 각잡혀있는 이쁜 궁전 ??
- 아니다~ 남의 집 따라하면 그 끝은 남의 집이다.
- 우리만의 규칙을 세우고, 규칙을 따라야한다.
좋은 설계란?
- 미래를 멀리 보지 마라
- 처음부터 개쩌는 코드를 짤려고,, 구조 생각하고 클래스 생각하고,,,, 하지말고
- 언제든 변경 가능한 구조를 짤 수 있어야한다.
클린 아키텍처
- 로버트 C 마틴은 : 클린아키텍처에 대해 예제를 넣지 않았다.
- 스스로 생각하며 클린 아키텍처란 무엇인지 생각해보자
허재 님의 3가지 가이드라인
허재님은 코드를 작성할때 클린하고 유연한 구조를 잡기위해 3가지 기준을 세우셨다고 합니다.
1. 비즈니스 로직을 보호하자
2. 도메인을 충분히 숙성시킨 후 책임을 부여하자
3. 모든 객체에는 책임이 있어야한다. 함부로 많은 책임을 부여하지 말자
1) 비즈니스
1. 레이어드 아키텍처 : 왜 레이어를 나누어야할까?
- ✔️ DIP 를 지켜 비지니스 로직을 지키기 위해서
- 비지니스 로직은 외부 상황에서 보호하기 위해서 infra 를 분리한다.
2. 그럼 비즈니스는 어떻게 가둬야할까
- 단방향으로 의존성이 흐르게 설계하자
- Interface : 외부의 진입으로 부터의 명세
- Use-Case : 요구사항 구현을 위한 선언적 구조?
- Domain (User, Post, Reservation 등등,,)
- 유즈케이스 : 도메인 서비스 = 1:1 (이런 구조여야 책임 분리를 잘한 것)
- 서비스는 진입점
- 컴포넌트가 실제 비지니스 로직
- 흔히 Domain 에 비지니스 로직을 두는데, 이를 한단계 내려 Compnent 로 두었다고 하셨습니다.
- Componet
- 서비스의 재사용이 가능한 비지니스 로직 (각각의 기능을 세부적으로 나눈 것)
- infrastructure
- 인프라 접근도 컴포넌트만 접근할 수 있어야한다.
- 인프라(DB) 가 바뀌는 경우가 거의 없긴한데, 현실세계의 문제를 강결합으로 풀지 않기 위해 컴포넌트를 나누고 인프라 의존성 공부를 한다.
2) 숙성
- 비지니스를 설계할때, 충분히 성숙된 도메인이었을 때 도메인으로 내보내야한다.
- 콘서트 예약 시스템에서 [예약] 시스템을 도메인으로 보았다면 (domain - reservation, user, concert)
- ‘여기서 만약 숙박 예약이 추가된다면??
- 위의 구조에서 reservation 은 예약이 아니라, 콘서트 예약이다.
- 즉 예약이 될만큼 충분히 숙성되지 않았다
- 핵심은 책임
- 함부로 일반화 시키지 말자
3) 책임
- 예약(도메인)이 가진 특징이 뭘까 고민
- 컴포넌트로 세부 사항 비지니스를 구현
- 컴포넌트를 갈아끼워서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
- 모든 객체에는 책임이 있어야한다.
- 도메인은 충분히 숙성시켜야 한다. 함부로 도메인에 책임을 과하게 주면 안된다.
다시, 좋은설계란?
- 개발을 말랑말랑하게
-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구조를 설계해야한다는 말 같습니다.
👏 내 생각
허재님 강의의 요점은, 좋은 코드와 좋은 설계란 변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구조이며
그런 구조란, 미래의 선택을 미리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→ 그러기 위해서는 선택되지 않은 역할을 도메인에 함부로 주는 실수를 해서는 안된다. 라고 생각됩니다.
현실 세계에서의 더 많은, 자세한 책임을 준다는 "디테일한 역할을 부여하는 것" 이고 소프트웨어 세계에서 많은 책임을 준다는 "추상적으로 역할을 부여한다" 이 차이를 조심해야할 것 같습니다.
핵심은 도메인에 대한 "비지니스 로직을 분리하자", "도메인은 충분히 숙성시킨 후 추출이 가능해지면 상위 도메인으로 추출하자"
Component 에 비지니스 로직을 부여한다는 것은, 코드를 보지 않아 잘 이해가 가지 않았지만 infrastructure에 대한 접근이 Compnent 에서만 가능한걸로 보아 Entity 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그를 이용해 도메인 레이어에서 재상용이 가능하게 만든 것이 아닌가,, 조심스럽게 유추해보았습니다.
다소 아쉬운 점이 있었던 컨퍼런스였지만, 좋은기회로 가게되어 포스팅으로 남겨보았습니다.
끝!
'🔥 공대생은 성장 중 > 세미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빛앤 MSA 세미나] 모니터링 | 강동호 (0) | 2024.08.20 |
---|---|
[한빛앤 MSA 세미나] 서비스 장애 잘 이해하고 대비하기 | 박순영 (0) | 2024.06.21 |
⚙️ Block, Non-Block, sync(동기), Async(비동기) 의 간단한 개념 (0) | 2022.10.31 |
[Restful api 란] - 진짜 Rest API 란 무엇이고 어떻게 써야하는 걸까? (2) | 2022.07.21 |